드디어 점브브레이크 기능을 알았다.

구글 블로그를 130개 적은 후 드디어 점프 브레이크를 이해했다. 이 블로그에서 점프 브레이크에 대해서 검색해보니 2014.3.25.에 적었던 글인 http://jskimmin.blogspot.com/2014/03/blog-post_25.html이 있었다. 그때는 점프 브레이크가 국내 블로그인 티스토리나 네이버 블로그에서 볼 수 있는 더보기(요약글)과 기능이 비슷한 것이라 생각했으나 이해할 수 없었다.


더보기(요약글)에 대한 생각으로 글에 점브 브레이크를 삽입해도 변하는 것이 없었다. 구글 블로그에서 점프 브레이크는 더보기나 요약글과 글을 감춘다는 것을 같은데 사용은 다르다는 것을 알았다. 예로 티스토리에서 글에 더보기를 사용하면 더보기 안에 글은 모두 감춰진다. 구글 블로그에서 점브브레이크 다음의 글을 감춰진다.

그런데 구글 블로그에서 감춰진 것이 나오게 하는 버튼이나 링크가 어디에 나오냐는 것이 차이였다. 구글 블로그는 해당 글에 나오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았다. 반대로 티스토리나 네이버 블로그에서는 글에 나온다.

구글 블로그에서는 요약 글 표시에 요약 글이 나오는 곳에서 나오다고 해야 하나...하나의 글에는 점프 브레이크로 설정한 버튼이나 링크가 나오지 않는다. 점프 브레이크를 사용하면 알 것이다. 아래 그림에서 2번 자세한 내용 보기는 점프 브레이크를 사용하면 나온다.


이 글에서 점브 브레이크를 사용했는데 이 글을 하나만 볼 때는 점브브레이크로 설정했다. 점브 브레이크는 구글 블로그 등 태그를 클릭하면 자세한 내용 보기가 나온다면 점브 브레이크를 삽입한 글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구글 블로거가 배포한 템플릿 중에 무조건 글에 점브 브레이크가 되도록 한 것이 있는데 어떻게 했는지 모르겠다.

댓글 쓰기

0 댓글